미국 '소셜미디어'에 오르내리는 기업들

2009. 2. 22. 22:22

인터넷 마케팅 전문조사기관인 Vitrue가 지난 21일 미국 내에서 마케팅 활동을 펼치는 2천개 업체에 대한 SMI(Social Media Index)를 발표했다.

<The Vitrue 100 - Top Social Brands of 2008>

관련기사: 한국기업들 미국 인터넷 진화속도 적응 못해

이 조사에서 염두해야 할 사항은 기업의 소셜미디어 활동 지수가 아닌, 소셜미디어 내에서 화자되고있는 기업들의 순위라는 것이다. 그런 이유에서 일까? 애플이 10위권에 3가지 키워드를 보여주고 있고 미디어 기업인 CNN이 2위를 차지하고 있다.



Top Social Brands of 2008에 대한 나의 생각.

12월 한 달간 소셜 미디어의 크기, 화자된 횟수 등을 토대로 조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기업 활동에 대한 지수는 위의 조사 결과에서 확인이 어렵다. 조사 결과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소셜 미디어 내부의 대화 진단 정도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특히 IT 기업들의 신제품 출시, 각 미디어 뉴스에 대한 코멘트나 의견 등이 위 조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까?

순위에 상관없이 한국 기업들이 미국 소셜미디어 내에서 화자되고있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싶다. 나아가 한국의 소셜미디어와 환경이 다른 미국 내에서 화자되는 것 이상으로 소셜미디어에 참여하고 그들의 소리를 들을 줄 하는 기업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 있다.

carlos PARK Bolg/Online Relations

마이스페이스, 한국 철수 결정!

2009. 2. 8. 22:44
세계적 SNS인 마이스페이스가 18일 한국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도대체 왜일까? 위키백과에 따르면 마이스
페이스는 영어 사이트 중 여섯번째로 인기가 있으며, 미국내에서는 3번째로 인기있는 사이트다. 2008년 2월 3일 기준으로 2억 7천여개의 개정을 운영중에 있으며, 매일 55만개의 새 계정 등록이 이루어지고 있다. 규모가 매우 큰 사이트다.

WHY!? 떠날까?
마이스페이스 측은 "선택과 집중"을 그 이유로 들었다. 한국에 야심차게 들어왔으나 예상밖의 고전으로 결국 철수를 하며, 수익율이 기대되는 지역으로 역량을 집중한다는 이야기다.



수익 어려운 이유는 뭘까?
[그라운드스 웰]에서 밝힌바와 같이 한국 SNS서비스는 마이스페이스의 주 무대인 미국과 그 생태계가 매우 다르다.(온라인 적으로..) 한국에서는 싸이월드라는 강력한 SNS가 존재하고 있다. 싸이월드의 인기가 예전같지 않다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계맺기 방법 등이 이미 한국 사람들의 인식에 깊게 작용하고 있어 그 틈새를 뚫기가 힘들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마이스페이스의 [아티스트, 그리고 우리들의 이야기] 프로모션이 매우 마음에 들었다. 이 프로모션을 통해 다양한 아티스트를 알게 되었고, TV를 통해 접하기 힘든 아티스트의 목소리를 들을 수도 있었던 좋은 통로였다.

한국 시장에서 철수를 결정했지만 영어를 통해 그 서비스는 계속 유지가 된다고한다.(당연한거지만...) 인기있는 SNS서비스를 한국어로 만나볼 수 있어 매우 유익한 서비스였다고 생각한다. 더 이상 한국어로 된 마이스페이스를 볼 수 없겠지만 지속적으로 마이스페이스를 사용하는 유저가 될 것 같다.

carlos PARK Social-media

미디어의 미래는?

2009. 2. 8. 20:40
"Media"

꼭 "Globle" 해야 하나요?

carlos PARK 미분류